JAVA의 변수와 자료형
2025. 10. 4. 19:10

변수란?

  • 수학적으로 변수(變數,Variable)란 어떤 정해지지 않은 임의의 값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기호’이며, 간단하게 말하면 ‘변하는 수’라고 할 수 있다.
  •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특정한 하나의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 공간을 뜻한다.
    • 그리고 그 ‘특정한’의 종류는 후술할 자료형을 통해 지정이 가능하다.
    • 특정한 메모리 값을 넣어줄 공간을 할당하고, 그 영역에 이름을 지어주어서 사용자가 접근하기 쉽도록 하는 형태가 일반적이다.
    • 특정한 ‘하나의 값’을 지정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덮어쓰기로 진행된다. 하나의 변수에는 하나의 값만 들어가므로 변수끼리 값을 교환하고 싶을 때에는 기본적으로 삼자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자료형이란?

  •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변수 또는 값이 가질 수 있는 데이터의 종류를 말한다.
  • JAVA에서는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하는데, 기본자료형과 참조자료형으로 나뉜다.
    • 기본 자료형
      • 기본 자료형(Primitive Type)은 흔히 사용되는 int, char, float, double, boolean 등의 형태로 쓰이는 자료형이다.
      • 이를 분류해보자면 문자형, 정수형, 실수형, 논리형으로 나눌 수 있다. 문자형은 char, 정수형은 byte, short, int, long, 실수형은 float, double, 논리형은 boolean이 있다.
        • 기본적으로 char는 단일문자(’A’)를 다룰때 주로 쓰이며, 하나 이상의 여러 문자를 다루고 싶은 경우에는 문자열(”String”)의 형태로 쓰이게 된다.
        • 정수형은 상기 나열한 자료형들의 순서대로 1,2,4,8byte의 크기를 가졌으며, 소수점이 있는 10진수이다.
        • 실수형은 상기한 자료형 기준으로 각각 4byte, 8byte의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소수점이 존재하는 10진수이다.
        • 논리형은 boolean하나만 존재하며, 참/거짓(true/false)를 다룰 때 쓰인다.
    • 참조 자료형
      • 참조 자료형은 기본적으로 배열, 클래스 객체 등이 존재한다.
      • 참조 자료형과 기본 자료형을 가장 쉽게 구분하는 방법은 예약어 new를 사용하느냐 마느냐라고 볼 수 있다.
      • 기본자료형 化 된 String을 제외하고서는 전부 그렇기 때문이다.
      • 참조 자료형은 기본적으로 초기값을 가진다. 예를 들어 배열을 new 예약어와 함께 선언해두면, 그 배열의 최종 인덱스의 값들은 하나하나 그 배열의 자료형의 기본값을 가진다.
      • 이는 일반적인 클래스의 멤버변수들도 마찬가지인데, 기본적으로 0, 0.0 등의 값을 갖는다.
      • 사실 자바는 객체지향프로그래밍언어로, 오히려 대부분의 Data는 초기값을 가진다고 볼 수 있으며, 메소드에 쓰이는 지역변수 정도만 초기값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