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의 제어문 1) 조건문(if)
2025. 10. 4. 19:11

조건문의 뜻과 그 종류

  • JAVA에는 프로그램을 제어(Control)하기 위한 여러가지 기능이 마련되어 있다.
    • 그 중 가장 많이 쓰이는 것 중 하나는 바로 조건문이다.
  • 조건문은 크게 if문과 switch문 2가지가 존재하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많이 쓰이며, 모든 코드에 안 쓰이는 곳이 없는 if문을 먼저 다뤄볼까 한다.

IF문이란?

if문은 조건을 다루는 조건문이다.

if( 조 건 ) { 실행 코드 } 의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조건이 TRUE(참) 일 때, 중괄호 안에 오는 코드를 실행하는 것이 기본적인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받은 값이 10 이상일 경우에만 출력하라는 코드를 짜고 싶은 경우,

import java.util.Scanner;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int num = sc.nextInt();
if(num > 10){
		System.out.println(num);
}

이런 식으로 짤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if문 뒤에 나오는 소괄호 안에는 if문 안에 있는 수행코드를 수행할 수 있는 조건이 들어오며, 이 조건이 참인 경우에만 실제 코드(println)를 수행하는 방식이다.

참/거짓 판정이라는 것은 분기를 낳게 되는데, 이러한 분기의 설정은 프로그래밍에 있어 가장 근간이 되는 형태라 할 수 있다.

여기서 더 중요한 점은, if분기라는 것은 위에 코드처럼 단 한 번만 쓰일 수도 있지만, 여러 번 연달아 사용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실제로 이걸 현실로 비유하자면,

청년형 국비지원교육을 받기 위해서는

현재 일정한 근로 형태로 근무하면서 근로수당을 받지 아니한 자(이하 1조건)

현재 구직 관련한 청년실업지원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지 아니한 자(이하 2조건)

재산이 4억원 이하인 자(이하 3조건)

구직 의욕이 있는 자(이하 4조건)

나이가 만 18~34세 인 자(이하 5조건)

등등 여러 조건을 동시에 만족시켜야지만 참여가 가능하다.

이걸 if문으로 바꾸어본다면

if(1조건){
	if(2조건){
			if(3조건){
				if(4조건){
						if(5조건){
							"국비지원교육 신청가능"
							}
						}
					}
				}
			}			

이러한 형태로 볼 수 있다.

여러 조건문을 중첩시켜서 쓸 수 있고 그 제한이 없다는 의미이다.

IF문의 다른 형태

한편, if문은 중첩 뿐만 아니라 1 조건이 맞는 경우 a, 1 조건은 아니지만 2 조건이 맞는 경우 b, 1,2조건이 모두 안되지만 3 조건이 되는 경우 c, 그 외의 경우 d 식의 표현 역시도 가능하다.

이를 if-else if- else문이라고 말한다. 이를 코드로 보면

if(1조건){
	return a;
	}else if(2조건){
	return b;
	}else if(3조건){
	return c;
	}else{
	return d;
	}

의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조건문의 활용을 통해 프로그램 내부의 수많은 분기를 만들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의 구성이 가능해진다. 이를 적절히 활용하는 것이 곧 프로그래머의 실력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앞으로 열심히 활용해야 할 것이다.

'개발공부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접근 제한자  (0) 2025.10.04
자바의 제어문 2) 조건문(switch)  (0) 2025.10.04
자바의 연산자  (0) 2025.10.04
인코딩과 디코딩  (0) 2025.10.04
JAVA의 변수와 자료형  (0) 2025.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