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바에는 변수(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다루기 위해 필수적으로 이해해야 하는 내용이 있다. 데이터의 조작 및 비교 등을 할 때에 필수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 그건 바로 연산자이다.
- JAVA에서 연산자는 기본적으로 대입연산자, 산술연산자, 비교연산자, 논리연산자, 단축연산자, 삼항연산자등이 존재한다. 이를 하나씩 알아보고자 한다.
먼저 대입 연산자는 int a = 10; 등의 형태로 쓰이며 가장 많이 쓰이는 연산자라고 할 수 있다. 변수에 기본적인 값을 대입할(넣을) 때 필수적으로 사용되며, 좌측에 적힌 변수에 해당하는 값을 부등호 우측에 있는 값으로 넣겠다는 의미이다. 기본적으로 수학에서는 부등호가 하나만 쓰여도 등치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나, JAVA등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기본적으로 대입연산자로 쓰인다.
산술연산자의 경우, 우리가 흔히 아는 사칙연산등이 이에 해당한다. +, -, *, / 등이 그 예시이며, 그 외에 나머지 연산을 위한 %, 반복문에서 자주 쓰여서 추가로 만든 ++, - - 연산자 등이 존재한다. 기본적으로 수학등 기존 학문에서 사용되던 형태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크게 학습에 있어서 어려움은 없었다.
비교연산자는, 관계연산자라고도 불리며, 크게 등치관계, 대소관계 두 가지를 판별할 수 있는 연산자이다. >, < 등으로 대소비교, ==(같다), ! = (다르다) 등으로 등치비교, > =, < = 등으로 대소 or 등치비교 연산이 가능하다. > = 연산은 풀어서 쓰면 > ||(or) == 의 의미로 쓰인다.
논리연산자는 기본적으로 전자회로에서 주로 쓰이는 AND, OR, NOT이 있다.
AND는 JAVA 코드로 구현시 &&의 형태로 쓰인다. 뜻은 기존에 회로에서 쓰이던 것과 같이 A(조건) && B(조건)이 있을 때, A와 B조건 모두 TRUE일 경우에만 TRUE, 그 외에는 FALSE를 리턴하게 된다.
표로 보기 쉽게 보자면
&&(AND) A(TRUE) A(FALSE)
| B(TRUE) | TRUE | FALSE |
| B(FALSE) | FALSE | FALSE |
로 정리가 가능하다.
OR는 ||(보통 키보드 원화표시 위에 있는 키) AND의 대척점에 있다고 볼 수 있다. AND는 모두 TRUE일때 TRUE였다면, OR는 모두 FALSE일때만 FALSE이고 그 이외에는 모두 TRUE값을 갖는다. 표로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 ||(OR) | A(TRUE) | A(FALSE) | | --- | --- | --- | | B(TRUE) | TRUE | FALSE | | B(FALSE) | FALSE | FALSE |
마지막으로 NOT(!)은 두 가지 조건을 다룬다기보다는 하나의 조건의 결과에 반대되는 값을 가리킨다. 그 값이 TRUE였다면 FALSE, FALSE였다면 TRUE값으로 바꿔준다. 표로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자료 \ 연산자 !
| A(TRUE) | !A(FALSE) |
| A(FALSE) | !A(TRUE) |
논리 연산자의 경우, 대개 참/거짓 판정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실제로 참/거짓 값을 중요하게 활용하는 조건문, 반복문 등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조건에 해당하냐 아니냐에 따라 수행하고 아니고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개발공부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자바의 제어문 2) 조건문(switch) (0) | 2025.10.04 |
|---|---|
| 자바의 제어문 1) 조건문(if) (0) | 2025.10.04 |
| 인코딩과 디코딩 (0) | 2025.10.04 |
| JAVA의 변수와 자료형 (0) | 2025.10.04 |
| 자바의 기본적인 출력 메소드 (0) | 2025.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