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본자료형에는 char 자료형이 존재한다.
- char는 기본적으로 하나의 글자를 다루기 위해 이용되는 자료형이다.
- 자바에서 하나의 글자는 주로 ‘A’의 형태로 쓰인다.
- 다만 char 자료형은 그 안을 파헤쳐보면 사실상 int등의 정수형 자료형과 별 차이가 없다. 그런데 char 자료형은 어떻게 문자를 출력해주는걸까?
- 이를 알기 위해서는 인코딩과 디코딩의 개념이 필요하다.
- 인코딩은 입력받은 글자 ‘A’를 유니코드 변환표를 통해 숫자 65로 변환시키는 과정을 뜻하며, 그 변환된 값을 char 자료형 변수에 저장한다.
- 반대로, 그 값을 불러올 때에는 65라는 숫자를 유니코드 변환표를 통해 ‘A’라는 글자로 변환시켜 사용자에게 ‘A’라는 글자를 보여주게 된다.
- 이러한 인코딩과 디코딩의 과정은 char 문자 자료형을 다룰 때에는 가장 기본이 되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실제 메모리에 저장된 값은 정수형 데이터라는 것
'개발공부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자바의 제어문 1) 조건문(if) (0) | 2025.10.04 |
|---|---|
| 자바의 연산자 (0) | 2025.10.04 |
| JAVA의 변수와 자료형 (0) | 2025.10.04 |
| 자바의 기본적인 출력 메소드 (0) | 2025.10.04 |
| 자바의 근본을 파헤쳐보자~자바의 기원부터 메모리관리까지~ (0) | 2025.10.03 |